바로가기메뉴
본문 바로가기
메뉴 바로가기

자료실 > 유머게시판


게시물을 뉴스나 다른 곳에서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보배드림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.
글쓰기 수정 삭제 목록
  • 댓글 (15) |
  • 내 댓글 보기 |
  • 레벨 대위 3 김딸칠 25.05.17 14:10 답글 신고
    저 참고로 왼쪽 봉알에 ●있습니다
  • 레벨 원수 급하면어제나오던가 25.05.17 14:10 답글 신고
    발에 있는거 아니죠?
  • 레벨 대장 깜밥튀밥 25.05.17 14:11 답글 신고
    그래요 그럼.
  • 레벨 원수 송파배짱이 25.05.17 14:11 답글 신고
    ㅋㅋㅋㅋㅋㅋㅋ
  • 레벨 원수 오렌지색이호박색 25.05.17 14:12 답글 신고
    난 귀두에 점 있음.....

    근데 그걸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음.ㅜㅜ
  • 레벨 준장 크림식빵 25.05.17 14:35 답글 신고
    오른손은 알걸요
  • 레벨 원수 바보맨 25.05.17 14:13 답글 신고
  • 레벨 중장 성열형님 25.05.17 14:15 답글 신고
    난 8미리 해바라기 6발 했음
  • 레벨 중령 2 닥터체게바라 25.05.17 14:15 답글 신고
    무서워서가 아니라 더러워서 피해지는 존재는 아닌지 곰곰히 생각해 보시길..
  • 레벨 중령 1 car15 25.05.17 14:15 답글 신고
    支那狗
  • 레벨 중장 피로회복제 25.05.17 14:16 답글 신고
    그려 열심히살어
  • 레벨 중사 2 용각산마니아 25.05.17 15:30 답글 신고
    어쩌라고.. 인증이나해. 어디서 사진퍼오지말고
  • 레벨 병장 강한영웅3 25.05.19 14:48 답글 신고
    이사람의 심리적 해석:
    자기 방어 및 위협 회피: 부정적인 피드백이나 공격적인 댓글에 직면했을 때, 강한 이미지를 내세워 자신을 보호하고 더 이상의 비난이나 공격을 막으려는 방어기제일 수 있습니다. '나를 건드리면 위험하다'는 메시지를 던져 상대방이 더 이상 문제를 삼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죠.
    낮은 자존감과 불안: 내면의 불안감과 낮은 자존감을 감추기 위한 보상 심리일 수 있습니다. 실제로는 자신감이 부족하고 타인의 평가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, 허세를 통해 강한 척하며 스스로를 방어하고 우월감을 느끼려는 시도입니다.
    인정 욕구와 관심 끌기: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주목받고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비뚤어진 방식으로 표출된 것일 수 있습니다. 긍정적인 관심이 어렵다고 판단될 때, 부정적인 방식으로라도 타인의 시선을 끌고 반응을 얻으려는 심리입니다.
    현실과 가상의 혼동: 온라인에서의 익명성과 자유로움 속에서 자신의 가상 persona를 실제 자신과 동일시하거나 과장하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현실에서는 느끼지 못하는 힘과 권위를 가상 공간에서라도 느껴보려는 심리입니다.
    분노와 공격성의 표출: 부정적인 반응에 대한 분노나 적개심이 공격적인 허세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직접적인 물리적 충돌은 피하면서, 언어적인 위협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해소하고 상대를 제압하려는 시도입니다.
  • 레벨 병장 강한영웅3 25.05.19 14:51 답글 신고
    병적인 요소:

    이러한 행동이 반복적이고 과장되며, 현실과의 괴리가 심각하다면 다음과 같은 병적인 요소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.

    허언증 (Pathological Lying 또는 Mythomania): 명백한 거짓말을 습관적으로 반복하며, 때로는 자신조차 그 거짓말을 믿는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. 단순히 상황을 모면하려는 목적을 넘어, 거짓말 자체가 심리적인 만족감을 줄 수 있습니다.
    자기애성 성격 장애 (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): 과장된 자기 중요감, 특권 의식, 공감 부족, 타인의 평가에 대한 지나친 민감성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. 자신의 이미지를 이상화하고 유지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거나 허세를 부릴 수 있습니다.
    반사회성 성격 장애 (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): 타인의 권리나 감정을 무시하고 침해하는 행동 양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.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거나 위협적인 행동을 서슴지 않을 수 있습니다.
    과대망상 (Grandiose Delusions): 현실에 기반하지 않은 비현실적인 능력이나 힘, 중요성에 대한 믿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. 자신이 특별하고 강력하다고 믿으며,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거짓말을 할 수 있습니다.
    (feat.챗gpt)
  • 레벨 하사 3 kknd6 25.05.19 15:00 답글 신고
   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단과 상담을 통해 적절한 도움을 받는게 좋겠다

덧글입력

0/2000

글쓰기
검색 맨위로 내가쓴글/댓글보기
공지사항
t서비스전체보기
사이버매장
국산차매장
수입차매장
튜닝카매장
승용차매장
스포츠카매장
RV/SUV매장
밴/승합차매장
오토갤러리매장
국산중고차
전체차량
인기차량
확인차량
특수/특장차
국산차매장
중고차시세
차종별검색
수입중고차
전체차량
인기차량
확인차량
특수/특장차
수입차매장
중고차시세
차종별검색
내차팔기
사이버매물등록
국산차등록
수입차등록
매물등록권 구입
게시판
베스트글
자유게시판
보배드림 이야기
시승기
자료실
내차사진
자동차동영상
자동차사진/동영상
레이싱모델
주요서비스
오토바이
이벤트